신체 기관 중 중요하지 않은 곳이 어디 있겠냐만은 그중에 눈도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기관입니다. 눈을 통해 외부의 정보 중 70%를 받아들일 정도로 사람은 눈에 대한 의존도가 큰 동물입니다.
시력은 우리 일상에서 귀중한 자산 중 하나입니다. 속담 중에 '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이 말하듯이 눈이 신체 기관 중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악화되는 눈 건강은 많은 사람들에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눈앞이 흐려지는 노인성 안질환인 백내장과 백내장과 관련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백내장이란 무엇일까요?
백내장이란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눈 속의 수정체의 혼탁으로 인해 사물이 뿌옇게 보이게 되는 질환입니다. 주로 50~70대 노년층에서 발생하고 서서히 시력이 감퇴하게 되는 병으로 60대 두 명 중 한 명 꼴로 발생하고 80대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백내장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노화 외에 외상이나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은 아래 체크리스트에 하나라도 해당사항이 있다면 백내장으로 의심해 안과에 방문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 백내장 증상 체크리스트 (출처 : 세브란스 병원)
- 시력이 저하되고 시야가 뿌옇다.
- 돋보기안경을 써도 평소보다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다.
- 밝은 곳보다 어두운 곳에서 시력이 더 좋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
- 빛 번짐 현상이 느껴지며, 야간에 눈부심이 심하고 불빛에 가까울수록 더욱 심해진다.
- 사물이 2개 또는 여러 개로 겹쳐 보인다.
- 색감이 예전에 비해 떨어지며 특히 비슷한 색의 배경에서 물체를 잘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인 대비감도가 감소한다.
나이가 들면서 눈의 조절력이 떨어져 근거리 작업이 장애를 받게 되는 것을 노안이라고 합니다. 흔히 백내장을 노안과 혼동하여 오랫동안 방치해 치료 시기를 놓치기도 하는데요 위에서 말한 대로 안개가 낀 것처럼 보인다든지 사물이 겹쳐 보인다든지 등의 증상이 보이면 꼭 안과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렌즈삽입술
백내장 치료와 노안 개선으로 렌즈삽입술을 많이들 하고들 계십니다. 백내장 질환을 치료하며 시력 향상을 위해 렌즈 삽입술을 진행하고자 할 때 단초점렌즈와 다초점렌즈를 선택해야 하는데 단초점렌즈와 다초점렌즈를 비교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단초점 렌즈 | 다초점 렌즈 | |
초점 | 근거리, 원거리 중 한 곳에만 초점을 맞춤 | 근거리부터 원거리까지 시력개선, 연속초점렌즈로 모든 거리 끊김 없는 시야확보 |
시력 개선 | 초점을 맞추지 않은 곳의 시력은 개선되지 않음 | 다초점, 연속초점 렌즈로 모든거리 끊김 없는 개선된 시야 확보 |
돋보기 착용 | 수술 후 돋보기 착용 필요 | 수술 후 돋보기 착용 불필요 |
수술대상 | 근거리 작업이 적은 고령층에 적합 | 야간운전 스포츠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분께 적합 |
건강한 눈 만드는 습관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가 발달한 시대에는 하루 종일 그것들을 보며 눈을 혹사시킵니다. 건강한 눈을 지키기 위한 습관들 몇 가지를 알려드립니다.
- 눈의 작은 증상에도 안과를 방문하여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 외출 시 선글라스를 착용합니다. (특히 UVA와 UVB 광선을 99% 이상 차단하는 선글라스를 착용합니다.)
- 눈을 비비지 않습니다.
- 전자기기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습니다.
- 화장을 깨끗이 지웁니다.
- 일이나 스포츠를 할 때 보호안경을 착용합니다.
보험사들이 백내장 수술 관련 실손보험금 지급 기준을 높이면서 보험금을 받지 못한 소비자들의 공동소송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보험사들은 금융당국이 마련한 '보험사기 예방 모범규준'에 따라 백내장을 비롯해 9가지 비급여 진료에 대한 심사를 깐깐하게 적용하고 있다는 입자이며 소비자들은 병원에서 필요한 진료라고 해 이를 따랐을 뿐인데 보험사기로 몰아가는 것은 억울하다는 입장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