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시안게임 정식종목, 우즈베키스탄 전통무예 쿠라쉬 (크라쉬)

by 아자도 2023. 6. 14.
반응형

2018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쿠라쉬를 아시나요?

 

우즈베키스탄 전통무술 쿠라쉬
우즈베키스탄 전통무술 쿠라쉬

 

지난 18회 아시안게임에서 유도와 씨름을 섞어 놓은 듯한 종목을 기억하시나요? 네, 바로 쿠라쉬인데요 지난 아시안게임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무예마스터십, 실내무도아시안게임 등 국제경기대회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무예입니다. 이번 제19회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도 멋진 경기를 준비 중인 쿠라쉬를 알아보겠습니다.

 

1. 쿠라쉬란?

 

경쟁하다, 시합하다, 싸우다

 

쿠라쉬는 경쟁하다, 시합하다, 싸우다 라는 의미로 3천 년 전부터 내려온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씨름입니다.

 

'나우루스'라는 국가의 대명절과 집안의 크고 작은 행사에도 소, 말, 양 등 상품을 내걸고 경기를 즐겨온 우즈베키스탄의 오랜 역사와 함께 희노애락을 같이하면서 우즈베키스탄의 국기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진 쿠라쉬를 현대스포츠에 맞고 세계적으로 보편화하기 위해 쿠라쉬만의 특징을 색출하여 체계화하면서 전 세계에 보급하기 위해 경기규칙을 형성화하였고 각종 대회를 개최해 좋은 반응을 얻게 되었습니다.

각국 대표자들을 총회의원으로 세계크라쉬연맹을 출범하게 되었는데 현재는 100여 개국의 국가가 세계연합국으로 가입이 되어있고 200만 명 이상의 쿠라쉬 선수가 활동하고 있습니다.

 

2. 쿠라쉬 경기방식

 

경기진행

  • 사회자가 주심을 소개하면 주심은 오른손을 왼 가슴에 대고 공손하게 인사 'TAZIM'을 합니다.
  • 주심은 오른손을 높게 들어 청 선수를 먼저 소개를 하고 왼손을 들어 녹색 선수를 소개합니다.
  • 주심은 양 선수들에게 'TAZIM'이라는 구호와 함께 서로 인사를 하게 하고 오른손을 양 선수 사이에서 위에서 아래로 가르며 '쿠라쉬'라 선언하고 경기가 시작됩니다.
  • 주심은 'TOUKHTA (멈춰) - VAQT(종료)'를 선언하고 경기종료 시키며 경기 결과를 지시합니다.

 

경기시간

  • 남자경기시간 - 4분
  • 여자경기시간 - 3분

 

득점

찰라(CHALA)

  • 기술을 걸어 메쳤을 때 상대의 한쪽어깨 대퇴부 또는 엉덩이가 매트에 닿았을 때입니다.
  • 기술을 걸어 메쳤을 때 상대의 정면이 완전히 매트에 닿았을 때입니다.
  • 동등한 탐백 처벌을 받았을 때 상대선수는 찰라 득점을 얻은 것으로 인정합니다.

 

욘보쉬(YONBOSH)

  • 능숙한 기술로 상대를 메쳤으나 '칼롤'에 필요한 기술의 요소, 즉 탄력, 속도, 통제력, 기세중 어느 하나라도 부분적인 결여가 있을 때입니다.
  • 동등한 닥기 처벌을 받았을 때 상대선수는 욘보쉬 득점을 얻은 것으로 인정합니다.

 

칼롤(KHALOL)

  • 한 선수가 상대 선수를 상당한 힘과 속도로 자신이 컨트롤하여 등 전체가 닿도록 메쳤을 때입니다.
  • 선수가 욘보쉬를 획득하고 상대선수가 닥기 처벌을 받았을 때입니다.
  • 한 경기에서 동일 선수가 욘보쉬를 두 번 획득했을 때입니다.
  • 한 선수에게 기롬이 처벌되면 상대선수에게 '칼롤'승을 선언합니다.

 

벌점

탐백(TANBEKH)

  • 바지를 잡거나 허리 밑 부분을 손으로 대는 행위입니다.
  • 의식적으로 경기를 피하려고 상대와 겨루지 않고 도망가는 행위입니다.
  • 선 자세에서 방어 자세만을 취하는 행동입니다. (10초 이상)
  • 상대를 메칠 의사가 명백히 없으면서 시간을 끌거나 공격하는 인상을 주기 위한 행동입니다. (위장공격)
  • 의도적으로 상대를 잡고 위험지역을 밟거나 나가려는 행위입니다.
  • 선 자세에서 상대의 공격을 방해하기 위해서 상대의 한 손 또는 양손을 깍지 끼고 계속 있는 일입니다. (5초 이상)
  • 주심의 허락 없이 고의로 자신의 복장을 문란하게 하거나 도복 띠를 풀었다 메었다 하는 행위입니다.
  • 경기에 늦게 출전하는 행위입니다. (30초 이상)
  • 경기 규정에 맞지 않는 도복을 착용했을 때입니다.
  • 상대가 자신의 깃이나 소매를 잡지 못하도록 소매를 걷어 올리거나 깃을 뒤로하는 행동을 할 때입니다.

 

닥기(DAKKI)

  • 탐백을 한번 받은 상태에서 다시 받을 때입니다.
  • 상대 선수게엑 위 해를 가했을 때입니다.
  • 주심이 판단하기에 선수가 닥기를 받을 만한 무리한 행동을 했을 때입니다.

 

기롬(GiRROM)

  • 닥기를 받은 상태에서 다시 벌칙을 받을 때입니다.
  • 상대 선수에게 선수가 기롬을 받을 무리한 행동을 했을 때입니다.

 

승의 종료

  • 칼롤승 : 완전한 힘과 속도 그리고 통제력으로 메쳤을 때입니다.
  • 종합승 : 욘보쉬 + 욘보쉬 또는 욘보쉬 + 닥기 및 닥기 + 욘보쉬 입니다.
  • 우세승 : 욘보쉬, 찰라의 판정이나 상대가 닥기, 탐백을 받아 이겼을 때입니다.
  • 기권승 : 경기도중 부상, 포기 등 어떠한 이유로 경기를 포기했을 때입니다.
  • 부전승 : 처음부터 경기에 임하지 않았을 때입니다.

 

 

3. 2023 대한민국 국가대표

남자선수

선수명 체급
조성완 -60kg
권재덕 -66kg
이종원 -73kg
윤용호 -81kg
김민규 -90kg
방창현 -100kg
정준용 +100kg

여자선수

선수명 체급
박수경 -48kg
오영지 -52kg
이예주 -52kg
임보미 -63kg
안예슬 -70kg
이선아 -70kg
박수진 -78kg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