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기차 화재는 금속화재 (D급화재)입니다.

by 아자도 2023. 4. 12.
반응형

1. 전기차 충전기 화재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자원고갈과 환경파괴의 이유로 내연기관차의 생산을 멈추고 친환경차의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며 변하고 있습니다. 변화가 시작되면 항상 처음엔 많은 문제점들이 나오기 마련입니다. 전기차로의 변화가 급속도로 이어지는 가운데 가장 큰 문제점은 뭐니 뭐니 해도 화재 일 겁니다. 어떤 화재든 일어나면 위험한 건 다 알고 있지만 배터리 화재는 일반화재와는 달리 더 위험합니다.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화재 발생률은 어떨까요?

최근 뉴스의 이슈여서 그런지 보통은 전기차의 화재가 훨씬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국토교통부 소방청 등의 자료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의 뉴스를 살펴보겠습니다.

2017년부터 2022년 11월까지 등록된 내연기관차는 총 186만 8천여대로 이중 2만 7천여 대에서 화재가 발생해 발생비율은 1.49%에 달했다고 하며  같은 기간 전기차는 35만 8천여 대가 등록됐고 이중 90여 대에서 불이나 화재 발생비율은 0.025%였다고 합니다. 화재 비율로만 보면 자그마치 내연기관차 화재발생 비율이 전기차의 60배에 달한 결과가 나와 실제는 내연기관차의 화재 발생률이 훨씬 높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처럼 자료에서는 전기차의 화재 발생율이 현저히 떨어져도 소비자들의 공통적인 생각은 무엇일까요?

화재의 위험도입니다. 한 번 불붙은 전기차는 화재 진압이 매우 어렵다는 겁니다.

 

2. 화재의 종류

급속히 연소하는 산화현상이며 인간의 의도와 반대로 확대되거나 방화에 의하여 발생된 소화에 필요성이 있는 연소현상으로, 이것을 진화하기 위해 소화설비나 이와 같은 성능을 가진 도구나 장비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불을 A급 화재, B급 화재, C급 화재, D급 화재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A급 화재 (일반화재)

-원인물질 : 나무, 종이, 고무 등 일반 가연성 물질에 의한 화재입니다.

-소화방법 : 물로 소화가 가능합니다.

 

 ⊙ B급화재 (유류가스화재)

-원인물질 : 석유, 타르, 가스, LNG, LPG, 페인트, 도시가스에 의한 화재입니다.

-소화방법 : 물을 포함하는 액체 냉각작용의 냉각소화 (물은 효과가 없으며 토사나 소화기로만 가능)

                  (유류) 공기의 차단을 이용 (가스) 밸브류 등을 잠그거나 차단합니다.

 

 ⊙ C급화재 (전기화재)

-원인물질 : 전기스파크, 단락, 과부하 등에 의한 화재입니다.

-소화방법 : 질식소화, 특수소화기 사용합니다.

 

 ⊙ D급화재 (금속화재)

-원인물질 : 철분,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등 금속물질에 의한 화재입니다.

-소화방법 : 마른 모래등의 질식이나 팽창진주암의 소화제나 특수소화기 사용합니다.

 

3. D급화재 진압방법(대피법)

물을 끼얹으면 화학반응으로 폭발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마그네슘 화재에 물을 뿌리면 폭발현상이 일어납니다.) 그리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분말 소화기마저 D급화재에는 통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D급화재가 발생하면 어떻게 처리하면 될까요?

일반적으로 금속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마른 모래나 D급화재 전용 소화기로 뿌려서 덮어야 한다고 합니다.

 

⊙ 전기차 화재 대피법

① 전기차뿐만 아니라 모든 차에 화재가 발생하면 제일 먼저 차량내부에 있는 사람이 차량 밖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요즘의 차는 전기가 차단되면 문을 열지 못할 수도 있는 거에 대비해 차량 내부에서 창문을 부술 수 있는 도구를 항상 보관하여 위급시에 창문을 부순 뒤 차 밖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② 화재가 발생된 차량에 D급 소화기나 마른 모래로 뿌려서 덮습니다.

③ 119에 신고하고 화재를 주위에 알립니다.

 

전기차와 충전기 주위에 D급소화기를 배치하시면 조금 더 큰 위험을 막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